[CPU보는법]조립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CPU 보는 법 2편
[CPU보는법]
조립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CPU 보는 법
안녕하세요. 조립컴퓨터 전문 컴대문입니다.
지난 조립컴퓨터 CPU 보는 법 포스트 2편입니다.
이번에는 CPU 연산체계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연산체계
연산체계는 CPU 내부에서 '1 클럭 = 1Hz = 1 단위 시간'안에서 계산할 때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64비트라하면 1 클럭에 64비트 만큼의 데이터가 처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에 비례해서 CPU가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의 크기도 커집니다.
64비트 컴퓨터는 2의 64제곱의 메모리(사실상 무한대)까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요즘 나오는 CPU는 거의 64비트를 지원합니다.
동작속도
누군가의 가슴에 불을 지피는 존재
동작 속도는 위에서 말한 1초 동안 데이터를 얼마나 많이 처리하는 지를 표현한 것입니다.
단위는 Hz(헤르츠)이고 다른 말로는 클럭(Clock)이라고 합니다.
3.3GHz라 하면 1초에 3.3기가 번만큼(약 33억 번 이상) 데이터를 처리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제조사가 CPU를 내놓을 때 정해놓은 클럭을 임의로 높이는 행위를 오버 클럭(OverClock)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같은 세대내에서 같은 라인업이면 동작 속도가 높을 수록 성능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i3-6100은 3.7GHz이고 i3-6300은 3.8GHz로 i3-6300이 성능이 더 좋습니다.
그러나 i3-6300은 동작 속도가 2.7GHz인 i5-6400보다 성능이 뒤쳐집니다.
i3-6100(3.7GHz)<i3-6300(3.8GHz)<i5-6400(2.7GHz) 인 셈입니다.
즉, 동작 속도이외에도 CPU의 성능을 가리는 지표는 많으니
동작 속도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성능이 좋은 CPU는 아니라는 뜻입니다.
CPU 대역폭
CPU는 메인보드에 있는 칩셋들과 연결 통로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그 연결 통로의 '폭'을 대역폭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데이터가 자동차라면 대역폭은 도로의 크기죠.
때문에 대역폭이 클수록 데이터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병목현상이 줄어드는 샘입니다.
DMI는 인텔에서 사용하는 대역폭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T/s는 그 대역폭의 단위입니다.
8 GT/s 라는 것은 1초에 80억 이상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한 세대내에서는 CPU간 대역폭이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딱히 신경쓰실 부분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6세대 스카이레이크 CPU인 펜티엄 G4400과 i7-6700의 대역폭은 8GT/s로 동일합니다.
터보 부스트 속도
마지막으로 터보부스트 기술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터보 부스트란 작업량이 지나치게 많아졌을 때
이를 빨리 처리하기 위해서 잠깐동안 기본 동작 속도보다 빠르게 속도를 높이는 기술입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오버클럭이 있는데 오버클럭은 사용자가 직접 조정을 하는 것이고
터보 부스트는 CPU가 알아서 속도를 조정하는 것입니다.
오버클럭을 하게 되면 한계 이상으로 속도가 높아지지만 발열이 엄청나지고 전기도 많이 소모됩니다.
냉각시스템도 그만큼 갖추어야하지요
그러나 터보 부스트는 TDP(설계전력)이하로 CPU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속도를 높인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위의 스펙표에서 터보 부스트 속도가 3.9GHz라는 것은 작업량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설계전력(표에서는 65W라고 되어있네요)내에서 3.9GHz까지 동작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인텔 6세대 프로세서인 스카이레이크에서는 i5 이상만이 터보부스트를 지원합니다.
이상 입니다.
다음 3편에서는 스펙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궁금한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PC 조립 배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립PC상식] 모니터 사양 보는 법 (0) | 2017.11.30 |
---|---|
컴초보를 위한 컴퓨터 부품 상식! (0) | 2017.11.30 |
메인보드 구입법/메인보드 사양 보는 법 (0) | 2017.10.13 |
[CPU보는법]조립컴퓨터 초보자를 위한 CPU 보는 법 1탄 (0) | 2017.02.01 |
조립컴퓨터 사양 확인하기!! CPU-Z 보는법!! (0) | 2017.01.25 |